종로학원
수시 프로그램
종로학원
학습 프로그램
종로학원
컨설팅 프로그램
본문으로 바로가기(해당 영역이 없으면 이동하지 않음) 확장된 본문으로 바로가기(해당 영역이 없으면 이동하지 않음) 서브메뉴로 바로가기 (해당 영역이 없으면 이동하지 않음) 푸터영역 메뉴 바로가기

 공지사항

수험생과 함께하는 종로학원의 공지사항입니다.

공지사항 보기
NO 837 2023년 12월 고1 수학 학력평가 출제 경향 분석
종로학원 2023.12.19 조회수 : 1001
2023년 12월 학력평가 출제 경향 분석[수학] 고1
1. 전체적인 난이도와 전년 11월과 비교시 난이도는?
1) 작년보다 다소 쉽게 출제되었다.
2) 기본 개념만 잘 숙지하고 있다면, 계산실수를 하지 않는다면 충분히 고득점을 받을 수 있다.
2. 가장 변별력 있는(가장 어려웠던) 문제는? 그 이유는?
문항(배점) 단원 내용과 이유
21번(4점) 집합 집합 문제의 경우 대부분 벤 다이어그램을 그려서 푸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벤 다이어그램을 그려서 확인해보면, 세 집합의 교집합의 원소의 개수에 따라 각 집합의 영역별 원소의 개수가 달라진다. 따라서 조건을 확인해보며 벤 다이어그램을 그려보면 세 집합의 교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0임을 확신할 수 있다. 이 조건을 시작으로 여러 개의 경우를 그려보고, “ㄴ”과 “ㄷ”을 해결하면 금방 풀리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 문제를 벤 다이어그램을 안 그리고 풀게 된다면 많은 혼란이 올 것이기에 어려운 문제로 꼽았다. 
30번(4점) 집합 수능 수학의 기본인 그래프 문제이다. 그래프를 직접 그려가며 직선 y=t와의 교점, 즉 실근을 파악해 서로 다른 모든 실근의 합을 구해야 한다. 그런데 여기서 g(x)가 m의 값에 따라 그래프가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뉘게 된다. 따라서 직선 y=x 위에 꼭짓점이 있는 g(x)를 m의 값에 따라서 여러 가지 그래프를 그려가며 직선 y=t와의 교점을 다 파악한 후, 그 원소들의 합을 h(t)라 하면 된다. 여기서 나오는 h(t)는 분명 m으로 표현이 될 것이다. 이렇게 표현된 h(t)를 모두 구하여 다 더하면 m에 대한 일차식이 19라고 두고 해결하면 된다. 여기서 m의 값에 따라 바뀌는 g(x)의 그래프를 학생들이 그리기 좀 힘들어 할 것이고, 가장 큰 문제는 주어진 조건의 집합을 해석하는데 학생들이 많이 힘들어 할 것이기에 어려운 문제로 꼽았다.
3. 신유형 문제가 출제됐는가? 출제됐다면 어떤 형식인가?
1) 21번(집합), 여러 가지 경우의 벤 다이어그램을 주어진 조건에 맞게 직접 그려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점이 작년과 조금 달랐다.
2) 30번(집합), m의 값이 변함에 따라 g(x)의 그래프가 어떻게 그려지는지 확인 후 서로 다른 모든 실근의 합을 따로 구해야 한다.
4. 12월 학평을 통해 본 수험생 학습 전략은?
1) 고1 수학은 수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다. 따라서 점수가 낮든 높든 상관없이 꾸준히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겨울방학 때 들어가서 수능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수학 1과 수학 2를 열심히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2021년 목동종로MAX 독학 윈터 모집안내 2020.11.09
목록보기

 

전국 종로학원

본원과 동일한 시스템의 전국
종로학원 안내


사업문의

컨텐츠, 마케팅, 논술 등의
사업 제휴 및 문의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