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년 3월 학력평가 출제 경향 분석 [국어] |
고3 |
|
|
|
|
|
|
1.
전체적인 출제 경향은?
|
1)
독서에서는 과학 지문에서, 문학에서는 갈래 복합 지문에서 문제가 다소 어렵게 출제되었으며 그 외의 독서 / 문학 지문의 문제는 평이하게
출제되었다.
2) 화법과 작문 / 언어와 매체에서는 배점 3점 문항이 다소 어렵게 출제되었다. 이 외의 선택과목 문항은 평이하게 출제되었다. |
|
|
|
|
|
|
2. 전체적인 난이도 및 공통과목과 선택과목(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각 과목별 난이도는? |
1)
공통과목 중 독서가 문학에 비해 오답률이 좀 더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
3.
가장 변별력 있는(가장 어려웠던) 문제는? 그 이유는? |
1) 공통과목 : 독서, 문학 |
|
|
|
문항(배점) |
영역 |
내용 |
이유 |
8번(3점) |
독서(인문) |
구체적
사례에 적용하기 |
학자들의 관점 차이에 대한 차이 구별의 어려움 |
17번(3점) |
독서(과학) |
구체적
상황에 적용하기 |
혈압 조절 과정의 관계성 파악의 복잡성 |
26번(3점) |
문학(갈래
복합) |
외적
준거에 따른 감상하기 |
외적 준거와 글의 맥락간의 연관 파악의 어려움 |
|
2) 선택과목 : 화법과 작문 |
|
|
|
문항(배점) |
영역 |
내용 |
이유 |
40번(3점) |
화법+작문 |
대화 내용이 글에 반영된 양상 파악하기 |
내용 파악 과정의 어려움 |
45번(3점) |
작문 |
추가 수집 자료의 활용 방안 파악하기 |
자료와 선택지 그리고 지문의 유기적 연결과 적용의 복잡성 |
|
|
|
|
|
|
3) 선택과목 : 언어와 매체 |
|
|
|
문항(배점) |
영역 |
내용 |
이유 |
36번(3점) |
언어 |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 이해하기 |
지문 내용에 따른 사례 해석의 어려움 |
38번(3점) |
언어 |
문장 성분과 짜임 이해하기 |
문장 성분과 짜임에 대한 분석 기술 부족 |
|
|
|
|
|
|
4.
신유형이 출제됐는가? 출제됐다면 어떤 형식인가? |
1)
해당 없음 |
|
|
|
|
|
|
5.
3월 학평을 통해 본 수험생 학습 전략은? |
1)
정보량이 많은 지문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2) 영역별 시간 배분 연습을 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