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4년 3월 학력평가 출제 경향 분석 [한국사] |
고1 |
|
1.
전체적인 난이도 및 전년 3월과 비교시 난이도는? |
1)
전체적인 난이도는 전년 3월과 비슷하게 출제되었다. |
|
2.
가장 변별력 있는(가장 어려웠던) 문제는? 그 이유는? |
문항(배점) |
단원(대단원명) |
이유 |
6번(3점) |
전근대
한국사의 이해 |
신라의 통치 제도에 대한 문항이다. 기존과는 다른 순서도를 이용한 새로운 유형의
문제이며, 통일신라와 고려 시대에 관련한 지식을 복합적으로 물어보고 있다. |
9번(3점) |
전근대
한국사의 이해 |
무신 정변에 대한 문항이다. 자료를 통해 자료 상황이 무신 정변임을 나타내는 것과
무신 정변이 발생한 시기를 연표와 연결시켜야 하기 때문에 문항 풀이에 익숙치 않는 학생들에게는 어려웠을 것이다. |
|
3. 신유형이 출제됐는가?
출제됐다면 어떤 형식인가? |
1)
6번 : 새로운 순서도를 활용하여 한꺼번에 여러 지식을 물어보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
|
|
|
|
|
|
4.
3월 학평을 통해 본 수험생 학습 전략은? |
1)
한국사에서 자주 출제되는 주제와 유형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며, 기출 문제를 중심으로 시대별, 주제별로 균형 있게 공부해야 한다.
2) 문화 분야에서 상당수가 출제되었다. 앞으로 정치사 외에 문화 부분에서 좀 더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