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학원
학습 프로그램
종로학원
컨설팅 프로그램
본문으로 바로가기(해당 영역이 없으면 이동하지 않음) 확장된 본문으로 바로가기(해당 영역이 없으면 이동하지 않음) 서브메뉴로 바로가기 (해당 영역이 없으면 이동하지 않음) 푸터영역 메뉴 바로가기

조회수 431,245 431,245
국어 수학 영어 사탐 과탐 설명회
  • 메인
  • 빠른채점
  • 등급컷
  • 해설강의
  • 출제경향분석
  • 오답BEST
  • 미니배치표
  • 합격예측

출제경향 및 분석

  • 국어
  • 수학
  • 영어
  • 한국사
  • 사탐
  • 과탐

- 총평 영상 보기 : 국어 -

2017학년도 고3 6월 모평 국어 출제 경향 분석 국어
본 자료는 종로학원하늘교육에서 2017학년도 고3 6월 평가원 모의평가 시험 종료 직후 국어 영역 강사진으로 구성된 문제 분석팀에서 분석된 결과자료입니다.
 -2017학년도 수능 문이과 국어 A형, B형 통합
1. 1교시 국어 난이도는?
1)기존 A, B형 패턴 문제에서 큰 변화로 문, 이과 학생들 모두 어렵게 출제
2)A, B형이 통합된 형태로 출제된 2013학년도 이전 패턴으로 전환
3)특히 중세국어 문법 제시문에서 기존 패턴에서 벗어난 형태였고, 지문 내용 또한 어렵게 출제되어 특히 3등급대 이하의 학생들은 매우 당황스러웠을 것으로 추정
4)전년도 수능에 비해 상당히 어렵게 출제
5)최근 수능에서 가장 어렵게 출제되었던 2011학년도, 2015학년도 B형 수준으로 어렵게 출제
6)문, 이과 통합된 시험으로 이번 시험으로 볼 경우에는 문, 이과 학생들 모두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
7)문과 학생들은 과학기술 제시문이 2개 출제되어 어렵게 느꼈고, 이과 학생들은 중세 국어 문법 관련 지문이 출제되어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
8)특히 지문의 길이가 많이 길어지고, 지문 내용 또한 과학과 음악 등 복합적 소재들이 다루어져 내용 이해, 시간 부족 문제가 많이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
2. 특이점 및 특이 문제
1)문과학생의 경우에는 과학문항이 전년도 2문항에서 4문항으로 늘어나 어려움이 있음
2)이과학생의 경우에는 전년도 국어A형에는 출제되지 않은 고전문법이 출제되어 어려움이 있음
3.  가장 변별력 있는(가장 어려웠던) 문제는?
문항(단원) 이유
  11번(문법) 중세 국어 지문이 포함된 문법 문제로 지문의 이해가 수반되어야
풀 수 있는 문제임  
  12번(문법)
28번~33번
(과학예술)
 ‘음악은 소리로 이루어진 예술이다’로 시작되는 과학과 예술이
 결합된 지문으로 지문이 길고(7개 단락), 내용 이해도 어려움.
 문, 이과 학생들 모두 어려움
4. 전년 수능과 비교 시 난이도는?
구분 2016학년도 수능
국어 전년 문과 국어(B형)보다 약간 어렵게 출제,
이과 국어(A형)보다는 매우 어렵게 출제 
5. 만점자 비율 1차 추정
 -A, B형 수준별 국어 시험에서 가장 어렵게 출제된 2015학년도(국어B형 만점자 0.09%) 수준으로 어렵게 출제되었고, A, B형이 통합된 시험으로 치뤄진 상황에서 가장 어렵게 출제된 2011학년도(만점자 비율 0.06%)에 버금갈 정도로 출제
 -2015학년도 국어 B형 1등급 커트라인 91점, 2011학년도 국어 1등급 커트라인 90점이었음
6. 남은 기간 수험생 학습전략은?
1)이번 평가원 모의고사 수준 정도로 봤을 때는 본 수능에서도 문, 이과 통합으로 전환된 첫 해로 어느 정도 변별력있게는 출제될 것으로 예상
 -평소 지문의 길이가 길거나, 소재가 복합적으로 들어가있는 지문의 이해 학습이 필요
2)국어 A, B형이 통합된 형태로 출제된 2013학년도 포함, 이전 국어 기출문제를 풀어보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될 듯
3)문학 장르(고려가요, 가사 등)이 탄생하게 된 배경, 특징 등에 기초지식을 습득하는 것 또한 중요한 학습 방법임(이번 시험에서 새로운 출제패턴으로 등장)

채점하기결과분석 Step1.

수시·정시 통합 합격예측서비스결과분석 Step2.

시행일 학년 시험명
2015.04.09 고3 4.9 경기교육청 학력평가 분석서비스
2015.03.11 고1 3.11 서울교육청 학력평가 분석서비스
2015.03.11 고2 3.11 서울교육청 학력평가 분석서비스
2015.03.11 고3 3.11 서울교육청 학력평가 분석서비스
2014.11.13 고3 11.13 대학수학능력시험 분석서비스
2014.10.07 고3 10.07 서울교육청 학력평가 등급컷
2014.09.03 고3 9.03 평가원 모의평가 분석서비스
2014.07.10 고3 7.10 인천교육청 학력평가 등급컷
2014.06.12 고3 6.12 평가원 모의평가 분석서비스
2014.04.10 고3 4.10 경기교육청 학력평가 등급컷